블로그 이미지
영감, 약속, 만남, 여행... 고래의뇌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97)
시나몬 주머니 (108)
가로질러 사유하기 (88)
Total
Today
Yesterday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한국일보(2008.2.14)

내게 숭례문이란 무척 낯선 이름이다. 내가 아는 그 문의 이름은 서울 도심 한 복판에서 길을 잃고 시장과 더부살이 하는 남대문이었다. 한국홍보영상에 출연하는 하나의 상징과 이미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고백하건대 나는 무지했다.

 

전대미문의 문화재 소실에서 누군가는 책임소재를 추궁하고, 그 가운데 방향이 채 정해지지 않은 복원론이 하나 둘 나오고 있다. 현장에서는 600년 역사와 전통을 잃었다는 상실감이 너무 큰 나머지 확성기로 곡 소리를 실어 나르고, 다른 한편에선 불탄 현장을 당분간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는 냉소적인 자기비판도 둥지를 틀고 있다.

 

하지만 조금만 다르게 생각해보자. 역사란, 전통문화란 그 누군가가 던진 불에 무기력하게 스러져가는 미약한 것일까? 숭례문의 홍예문 천장 용 그림을 보다가 불사조가 생각났다. 불사조는 하나의 생이 다하면 스스로 자신의 몸을 불태워 새롭게 태어난다고 한다. 되살아나는 불사조는 어제의 기억을 가지면서도 전혀 새로운 존재로 거듭난다. 타의에 의해 불탄 숭례문을 불사조에 비유할 수는 없지만, 역사란 소중한 어제의 기억을 오늘날에 맞춰 재발견하는 작업들의 연속이 아닐까? 다행히도 소나무와 목조건축 이야기가 조금씩 되살아 나고 있다.

 

질문은 던져졌다. 숭례문 온 몸을 던진 큰 질문이. 굳이 모두가 그 질문에 답할 필요는 없다. 다만 그 질문에 하나의 답만 강요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가능하다면 더 다양하고 깊이 있는 대답들을 통해 한양이 아닌 서울에서 함께 살아 숨쉬는 숭례문과 재회하고 싶은 욕심이다.

 

그리고 여력이 된다면 답에 이르는 길 위에서 불을 던져야만 했던 채씨와 또 다른 채씨의 울분에도 귀 기울여주는 정치인과 언론인을 만날 수 있었으면바란다.

 


*
중앙일보 노재현 기자님의 잿더미에서 건져낼 것들칼럼을 통해 숭례문 방화에 대한 생각을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좋은 글과 함께 글을 게재할 수 있게 허락해주신 기자님께 감사드립니다.

 

 

# # #

 

[중앙일보/ 2007.02.15] [노재현시시각각] 잿더미에서 건져낼 것들

http://news.joins.com/article/aid/2008/02/14/3061549.html

 

‘몸을 일으켜, 멀리 계곡 사이의 금각 쪽을 내려다보았다. 이상한 소리가 그곳에서 울려왔다. 폭죽 같은 소리이기도 하다. 무수한 인간의 관절이 일제히 울리는 듯한 소리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금각이 보이지 않는다. 소용돌이치는 연기와, 하늘로 치솟은 불길이 보일 뿐이다. 나무 사이로 수많은 불꽃이 날리어, 금각 위의 하늘은 금가루를 뿌린 듯하다’.

 

일본 전후 문학의 걸작으로 꼽히는 미시마 유키오(1925~70)의 소설 『금각사』 끝부분이다. 21세의 행자승이 자기 절의 사리전(금각)에 불을 지르고 산으로 달아나 불구경을 하는 장면이다. 숭례문 방화 용의자 채종기(70)씨는 범행 후 경기도 일산 아들 집에 갔다가 다시 강화도 전처 집으로 옮겼다고 한다. 그도 TV 뉴스를 보았을 것이다. 어떤 심정이었을까. 화염에 휩싸인 숭례문을 보며 전 국민이 그야말로 ‘관절이 일제히 울리는 듯한’ 고통을 겪었다는 것을 그도 알고 있었을까.

 

공교롭게도 일본 교토의 금각사(金閣寺·긴카쿠지)와 숭례문의 나이는 딱 한 살 차이다. 금각사는 무로마치 시대의 3대 쇼군(將軍)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1397년 별장으로 세웠다. 그의 사후 유언에 따라 사찰로 바뀌었다. 숭례문은 1398년 조선 태조 때 건립됐다. 1950년 7월 2 각사, 2008년 2월 10 숭례문이 각각 방화범에게 희생됐다. 양국 모두 경악했다.

 

전문가들은 용의자 채씨가 반사회적 인격장애일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기한다. 이런 경우 용의자의 가족도 애먼 고통을 겪게 마련이다. 오죽하면 채씨의 딸이 “차라리 우리 집을 태웠더라면”이라고 말했겠는가. 범행 직후 체포된 금각사 방화 용의자 하야시 쇼켄도 정신이상 여부가 쟁점이었다. 검찰 공소장은 하야시의 범행 동기를 ‘자기 혐오, 미에 대한 질투, 아름다운 금각과 함께 죽고 싶었던 점, 사회에 대한 반감, 방화에 대한 사회의 비판을 듣고 싶다는 호기심’이라고 나열했다. 바로 이 대목이 미시마 유키오의 창작열을 자극했고, 일본은 빼어난 장편소설 한 편을 더 갖게 되었다.

 

정신감정에서 정상으로 결론난 하야시는 징역 7년형에 처해졌다가 나중에 53개월로 감형됐다. 그는 금각사가 복원돼 낙성식(55 10)이 열린 지 5개월 만에 폐결핵으로 숨졌다. 안타까운 사람은 하야시의 모친이다. 범행 다음날 검찰에 불려가 아들의 성격과 성장 과정에 관해 진술한 뒤 귀향길 열차에서 뛰어내려 자살했다.

 

나는 잿더미 숭례문에서 우리가 건질 게 많다고 생각한다. 원래의 숭례문은 이미 타버렸다. 우리에겐 아직 시간을 되돌리는 기술이 없다. 그렇다면 잿더미라도 흉물 취급하지 말고 건질 것은 건지고 얻을 것은 얻어내야 한다. 우선은 하드웨어 측면이다. 숭례문 복원 여부와 방식, 문화재 관리 시스템, 소방기술 혁신이 당연히 중요하다(부끄러운 얘기지만 58년 전 금각사 방화는 화재경보기 고장을 틈타 자행됐는데, 숭례문에는 경보기가 아예 없었다).

 

정작 강조하고 싶은 것은 소프트웨어, 즉 숭례문 화재 이후의 정신적 성과다. 역시 지식인·예술가가 나서야 한다. 이미 몇몇 작가의 시와 산문이 신문 지면을 장식하고 있기는 하다. 고은은 ‘왜란에도 호란에도/어제런듯 그 동란에도/끄떡없다가/이 무슨 허망의 잿더미냐’며 절규했고, 이근배는 ‘다시 한번 보여다오/그 넉넉한 가슴, 그 드높은 사랑, 그 우뚝한 기상을’이라고 외쳤다. 그러나 이 정도에 그쳐선 안 된다.

 

금각사 화재는 『금각사』 외에 미즈카미 쓰토무의 소설 『5번가의 다무루(多霧樓)』를 낳았고 그제 타계한 이치카와 곤 감독의 영화 『불꽃』도 탄생시켰다. 1976년에는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을 토대로 독일 작가가 대본을 쓴 『오페라 금각사』가 베를린에서 초연됐다. 방화사건과 방화범 하야시 쇼켄을 추적한 책도 다수다. 근래 없던 엄청난 사건, 엄청난 충격을 우리 사회가 이제부터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상당 부분이 지식인들의 지적·정서적 감수성과 역량에 달려 있다.

 

노재현 문화스포츠 에디터 [jaiken@joongang.co.kr]

'가로질러 사유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치심에 대하여  (2) 2008.03.06
도대체 '집'이 뭐길래  (1) 2008.03.02
굿모닝, 미스터 오웰?  (0) 2008.02.10
多音을 넘어 和音으로  (0) 2008.02.04
진행형 인재가 필요할 때  (0) 2008.02.04
Posted by 고래의뇌
, |